대경선에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첫 적용
“국내 고속철도 인프라 개선 모든 역량 집중“

[인사이트코리아 = 심민현 기자] 현대로템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14일부터 운영하는 비수도권 최초 광역철도 노선인 대경선(구미역~경산역, 61.85km) 전동차에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이 처음 적용됐다고 16일 밝혔다.
KTCS-2는 국가 연구개발(R&D) 과제인 국내 신호시스템 표준화와 국산화 계획에 따라 개발됐다. 현대로템은 2012년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해당 과제에 철도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코레일과 함께 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2018년까지 68개월 만에 KTCS-2의 연구개발, 성능 검증, 제품 인증을 마쳤다.
기존에는 국산화된 철도 신호 기술이 없던 탓에 외산(外産) 신호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KTCS-2는 국내 철도망의 표준화는 물론 안전하고 효율적인 철도차량 운행에 기여할 전망이다.
대경선은 KTCS-2가 사상 처음으로 공식 적용된 차량이 운행되는 철도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특히 유럽연합의 열차제어시스템(ETCS) 규격을 충족하고 있어 해외 신호체계와 호환도 가능하다. 앞으로 KTCS-2가 고속 선로를 포함한 국내 철도망에 확대 적용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면 지난 6월 사상 첫 수출 성과를 이뤄낸 ‘K-고속철’에 이어 ‘K-철도신호’의 해외 진출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
KTCS-2는 ETCS 레벨-1, 레벨-2와 모두 호환된다. 다만 현재 대경선의 지상 신호방식에 따라 레벨-1 방식으로 운영된다. 레벨-1은 선로변에 설치된 발리스(Balise)의 전송 정보를 통한 열차 제어 방식이며 레벨-2는 ETCS 레벨-1에 추가로 차상~지상 설비 간 무선통신을 활용한 열차 연속 제어가 추가된 방식이다. 발리스는 선로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돼 열차의 위치와 제한 속도 등 운행정보와 선로 정보 등을 전송하는 지상 장치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신호체계 표준화로 보다 쾌적한 철도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국산 신호시스템 운영에 힘쓰겠다”며 “앞으로도 국내 고속철도 인프라 개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 현대차, 이승조·구자용·이태훈 ‘부사장’ 승진…장재훈 부회장 ‘기획조정’
- ‘계엄 쇼크‘에 9조 불발 위기 K방산...일본 어부지리 가능성도
- [K방산 주역③] 신익현 LIG넥스원 대표, 군 출신 편견 극복하고 ‘순항‘
- [주가 뜨는 기업의 비밀⑤] K2 ‘흑표’ 덕에 133%↑…“현대로템, 지금이 가장 싸다”
- [K방산 주역②]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 '선택과 집중'으로 최고 실적
- 현대로템, 대만 무인경전철 첫 편성 출고
- 현대로템,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정부 인증 획득
-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 ’역대급 실적’ 달성…영업익 1조 넘본다
- “중동형 K2 뜬다”…현대로템, ‘IDEX 2025’ 참가
- 현대로템, 2.2조 모로코 전동차사업 수주...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