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추진 과제 6가지 발표
“지속가능한 성장 토대 만들자“

[인사이트코리아 = 심민현 기자]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2일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정책 변동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E&C(엔지니어링·건설)를 비롯한 그룹의 주력 사업들이 생존을 고민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을 냉정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회장은 이날 신년사에서 “우리는 강대국 간 패권 경쟁에 따른 교역 위축과 국내외 수요 산업 부진으로 오늘의 생존과 내일의 성장을 동시에 고민해야 하는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다가올 트럼프 2.0 시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우리 제품의 해외 판로가 더욱 좁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국의 내수 시장 회복 지연과 맞물린 공급 과잉은 국내외에서 우리의 주력 시장을 직접적으로 위협할 것이며 원화 약세로 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연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그룹의 수익 기반이 약화될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장 회장은 현재 난관을 전화위복 기회로 삼아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도록 2025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6가지도 발표했다. 먼저 모든 사업장에서 안전은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가치이고 강건한 설비는 우리 사업 경쟁력의 근원임을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번째로는 기술의 절대적 우위 확보를 꼽았다. 장 회장은 “핵심 R&D 영역을 선정해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사업별 난제를 극복하고 미래 시장 변화를 주도할 포스코그룹 고유의 솔루션을 제시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세번째로는 실질적 성과 창출과 원가 구조적 혁신을 당부했다. 장 회장은 “자국 산업을 지키기 위해 빠르게 진행되는 공급망 재편 속에서 국내에서 생산한 소재를 해외 생산기지로 수출하는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인도와 북미 등과 같은 글로벌 성장 시장에서 소재부터 제품에 이르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으로 성과를 내야 한다”고 했다.
네번째 이차전지소재 사업에 대해선 “이차전지소재 사업은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을 경쟁력 제고의 기회로 삼아 우량 자원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가동 중인 법인을 빠르게 안정화 해야 한다”며 “시장 전반에 대한 지나친 낙관은 경계하고 우리가 강점을 가진 영역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미래 시장의 개화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섯번째 인프라 사업은 계획된 사업 구조 개편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동시에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른 기회를 찾아 자체적인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끝으로 “산업의 변화에 부합하고 그룹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미래 소재 기반의 신사업을 면밀히 검토해 추진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 미래 신사업이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와 시너지를 이루며 그룹 사업 포트폴리오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육성해야한다”고 말했다.
- 포스코 노사, 2024년 임금교섭 조인식 개최
- 포스코, 벤처육성 노력 결실…‘도전! K-스타트업’ 창업리그 휩쓸어
- 포스코,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 15년 연속 1위 선정
- [2025 10대 그룹 키워드⑤ 포스코] 장인화 “철강·배터리, ‘조직·인력’ 다바꿔”
- 유지냐 중단이냐...장인화 포스코 회장, 3파이넥스 재개 고민
- 이희근 포스코 사장 “대변혁 시기를 기회 삼아 재도약 하자“
- “위기의 포스코 살려라” 특명...이희근 사장, 鐵 보릿고개 넘는다
- 장인화 포스코 회장, 트럼프 '관세 폭탄'에 美 본토 직접 공략 나서나
- 포스코홀딩스, 일본제철 지분 매각…“전략적 제휴는 유지”
- ‘취임 1년’ 장인화 포스코 회장 철강·2차전지 보릿고개 해법은?
- [단독] 포스코, ‘만성적자‘ 장자강포항불수강 中 칭산강철에 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