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프트업 공모 절차 돌입…주당 공모 희망가 4만7000원~6만원
상장시 시총 최대 3조4800억원 달할 듯...김 대표 지분 39% 보유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시프트업>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시프트업>

[인사이트코리아 = 신광렬 기자] ‘스텔라 블레이드’로 성공을 거둔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가 본격적으로 기업공개(IPO)에 속도를 내며 1조 억만장자의 꿈을 이룰지 주목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시프트업은 지난 20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서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들어갔다. 총 공모주식 수는 725만주,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4만7000원~6만원, 공모 희망가 기준 시가총액은 신주를 포함해 2조7300억원∼3조4800억원이다. 공모 예정 금액은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 4350억원 규모로 알려졌으며, 공모 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면 6월 중으로 상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증권가 분석이다. 

이 과정에서 시프트업은 피어 그룹(비교군) 라인업을 넥슨이나 엔씨소프트와 같은 국내 게임사들을 배제하고 스퀘어에닉스, 사이버에이전트, 카도카와 등 일본 개발사들로 구성했다. 시프트업의 대표 게임 두 종(승리의 여신:니케, 스텔라 블레이드)이 한국보다는 일본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성공을 거둔 것이 피어그룹 선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시프트업의 희망가대로 상장이 이뤄지면, 시프트업은 단숨에 엔씨소프트(4조6982억원) 다음가는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게임시장에서 존재감을 발휘하게 될 전망이다. 상장이 이뤄지면 주식 2266만여주(지분율 39.05%)를 보유하고 있는 김형태 대표는 1조700억~1조3600억원에 달하는 거부가 된다.

시프트업은 ‘승리의 여신: 니케(이하 니케)’의 성공을 기반으로, 상장을 목표로 회사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적극 나섰다. 회사의 개국공신격인 작품 ‘데스티니 차일드’가 연식이 오래돼 유저 수가 줄어들자, 기업가치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 서비스를 갑작스럽게 종료하는 강수를 둘 정도로 시프트업의 IPO에 대한 열망은 높았다.

'니케'라는 캐시카우(현금창출원)가 있었던 시프트업이 지금까지 기업공개 절차를 미뤄왔던 것은 스텔라 블레이드의 성공 여부에 따라 기업가치를 추가적으로 높이기 위한 복안이었다. 실제로 스텔라 블레이드의 출시 이전 시장에서 바라보는 시프트업의 기업 가치는 2조원 정도였다.

그러나 해당 작품이 훌륭한 액션성과 매력적인 캐릭터, 게이머들 사이의 반 PC 풍조에 힘입어 출시 하루만에 판매량 100만장을 돌파하는 등 흥행에 성공하면서 시프트업은 추가적인 기업가치 상승을 노려볼 수 있게 됐다. 이전에 평가되던 기업가치의 1.5배 이상의 공모가를 제시한 것은 이같은 자신감이 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승리의 여신:니케.<시프트업>
승리의 여신:니케.<시프트업>

니케의 ‘원 게임 리스크’ 극복할 수 있을까

다만 현재 시프트업에는 니케에 종속된 매출구조에서 나오는 ‘원 게임 리스크’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시프트업은 니케 출시 후 1년 6개월만에 1640억원을 벌어들이는 대성공을 거두며 단기간에 급부상했으나, 해당 게임 하나에 매출의 97.6%를 의존하고 있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됐다. 사실상 니케 하나가 시프트업을 먹여살리는 셈이다.

스텔라 블레이드가 흥행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매출의 대부분이 출시 직후에 이뤄지는 콘솔 게임의 특성상 해당 작품이 니케와 같이 장기적인 캐시카우로 작용하기는 어렵다. 니케의 장르인 미소녀 수집형 모바일게임의 특성상 언제든지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라서 이같은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시프트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공모로 확보하는 자금을 신규 IP 개발에 일부 사용할 예정이다. 실제로 시프트업은 증권신고서를 통해 신규 IP ‘프로젝트 위치스(Project Witches)’를 공개했다. 이 작품에 대한 정보는 니케와 같은 서브컬쳐 신작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자세히 알려진 것이 없으나, 이는 시프트업이 니케의 뒤를 이을 새로운 캐시카우 개발에 신경쓰고 있다는 반증이다.

김 대표는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현재 서비스 중인 게임들의 IP를 강화하고, 신규 프로젝트 IP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사이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