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 티머니 출시…아이폰 유저도 교통카드 기능 쓸 수 있다
후불 교통카드·기후동행카드·K-패스 지원 안 돼 편의성 떨어져

지난 22일부터 국내 아이폰 사용자들도 버스·지하철 승하차 단말기에 기기를 태그하는 방식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챗 GPT 생성 이미지>
지난 22일부터 국내 아이폰 사용자들도 버스·지하철 승하차 단말기에 기기를 태그하는 방식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챗 GPT 생성 이미지>

[인사이트코리아 = 남빛하늘 기자] 국내 아이폰 사용자 숙원이었던 ‘애플페이’를 통한 대중교통 이용이 드디어 가능해졌다. 애플페이가 한국에 상륙한 지 약 2년 4개월 만이다. 다만 선불 충전 방식만 지원되고 ‘기후동행카드’ ‘K-패스’ 등은 사용할 수 없어 아쉽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22일 티머니·현대카드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한국에서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에 따라 아이폰 사용자들은 버스·지하철 승하차 단말기에 기기를 태그하는 방식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아이폰에서 티머니 애플페이를 사용하려면 ‘애플 지갑’ 앱 상단의 추가(+) 버튼을 누른 뒤 ‘교통카드’ 항목에서 ‘티머니’를 선택하고, 화면 안내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남빛하늘>
아이폰에서 티머니 애플페이를 사용하려면 ‘애플 지갑’ 앱 상단의 추가(+) 버튼을 누른 뒤 ‘교통카드’ 항목에서 ‘티머니’를 선택하고, 화면 안내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남빛하늘>

아이폰에서 티머니 애플페이를 사용하려면 ‘애플 지갑’ 앱(App)에 티머니 카드를 추가해야 한다. 앱 상단의 추가(+) 버튼을 누른 뒤 ‘교통카드’ 항목에서 ‘티머니’를 선택하고 화면 안내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모바일티머니 앱에서도 티머니 카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를 활성화하면 기기 잠금 해제나, 화면을 켜지 않아도 단말기에 아이폰을 갖다 대기만 하면 바로 탑승이 가능하다. 특히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도 전원 절약 모드를 통해 최대 5시간까지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애플페이 교통카드에 남은 과제

애플페이는 실물카드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신용·체크카드를 지갑 앱에 저장해 결제할 수 있는 애플의 간편결제 시스템이다. 우리나라에는 지난 2023년 3월 현대카드가 금융권 최초로 도입했다.

그동안 교통카드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의 불만이 컸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삼성페이를 통해 실물카드 없이도 대중교통을 손쉽게 이용해온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때문에 이번 애플페이 교통카드 기능 도입 소식에 아이폰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이제 드디어 아이폰만 들고 출퇴근할 수 있다” “바로 사용해봤는데 인식 속도 엄청 빠르다” “도입해주셔서 감사하다” 등 긍정적인 후기가 쏟아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대한 것보다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가장 큰 불만은 신용카드 기반의 후불 교통카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대중교통을 먼저 이용하고 카드 결제일에 비용을 내는 일반적인 후불 방식이 불가능하다.

다만 세계적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에 후불 결제 기능이 도입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신 애플은 ‘자동 충전’ 기능을 세계 최초로 탑재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로 떨어졌을 때 등록된 결제 수단을 통해 자동 충전된다.

충전 방식에는 제약이 따른다. 일단 애플 지갑 앱에서 애플페이와 제휴된 현대카드로만 충전할 수 있다. 모바일티머니 앱에서는 계좌이체를 통한 충전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도 2.1%의 수수료가 부과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따릉이까지 포함된 서울시 대중교통 할인카드인 기후동행카드와 국토교통부가 대중교통 다회 이용자에게 최대 50%까지 요금을 환급해 주는 K-패스 등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도 아쉬움으로 지적된다.

업계에서는 이용자에게 불리한 요소가 적지 않은 만큼, 실질적인 확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 K-패스로 받는 혜택을 포기하면서까지 애플페이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만큼의 매력은 아직 없다”며 “이러한 기능의 지원 여부가 애플페이 확산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애플페이에 교통카드 기능이 도입되면서 애플페이 당장은 이용자 수가 늘어날 수 있다”면서도 “아직까진 애플페이 사용 가능 가맹점이 여전히 적은 편이기 때문에 확산 속도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사이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