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5%→올해 37% 시장점유율 확대
리퍼 컨테이너 고부가가치 화물 유치

[인사이트코리아 = 심민현 기자] HMM이 한국으로 수입되는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를 3년 연속으로 가장 많이 운송했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해운조사기관 JOC의 ‘피어스 데이터(Piers Data)’에 따르면 올해 HMM이 한국으로 운송한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는 총 3062 TEU로 이 분야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HMM은 2023년 시장점유율 25%(2380 TEU)에서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8%p(포인트) 상승한 33%(2982 TEU)를 달성했다. 2025년에는 점유율을 37%까지 확대하며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국내에 수입되는 오렌지는 대부분 캘리포니아산으로 통상 1~4월 사이에 운송되는데, 냉장·냉동이 가능한 ‘리퍼 컨테이너(Reefer Container)’로 운송된다.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만큼 고도의 운송 능력이 요구되는 대표적 고부가가치 화물이다.
HMM은 일부 글로벌 선사들만 운영하는 ‘울트라 프리저(Ultra Freezer, 영하 60도 초저온 냉동)’를 도입해 고부가가치 냉동 화물 운송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일반 리퍼 컨테이너를 지속적으로 신규 제작하고 IoT 기술을 활용해 화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등 리퍼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 향상에 투자하고 있다.
HMM 관계자는 “최근 해상 운송기술 발달로 항공운송 고가 품목들이 해상으로 경로를 확대하고 있다”며 “올해부터 운송을 시작하는 워싱턴 체리 등 신규 고부가가치 화물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HMM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피어스 데이터
#리퍼 컨테이너
#울트라 프리저
관련기사
- HMM, 스페인 알헤시라스 터미널 확장 개발
- HMM 본사 이전, ‘속도 조절‘ 필요하다 [기자수첩]
- M&A 실사 종료 두 달째...HMM, SK해운 인수 왜 늦어지나
- HMM, 에코바디스 ESG 평가 2년 연속 ‘상위 1%’
- 이재명 ”HMM, ‘해양수도’ 부산으로 본사 이전” 강행...득과 실은?
- HMM 불황 극복 비책은 ‘해외 터미널’...SK해운 인수 장기전 대비
- HMM, 올해 2분기 영업익 2332억원...전년比 63.8%↓
- HMM, ‘2025 어린이 상선체험’ 개최
- HMM, 브라질 발레와 4300억원 장기운송계약 체결
- HMM, 국제 구호물품 해상운송 후원
심민현 기자
potato418@insight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