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정기술연구소’ 출범...HD현대重 함정기술센터 50년 노하우에 전동화·디지털·AI 접목
미래 함정 원천기술 선점 및 113조원 규모 함정 시장 공략 '목표'

[인사이트코리아 = 손민지 기자] “함정기술연구소를 세계 최고 함정 기술의 요람으로 만들어 우리나라가 글로벌 방산 4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힘을 보태자.”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이 ‘함정기술연구소’를 출범시키며 향후 10년 113조원 규모의 미래 함정 시장 공략에 나섰다.
HD현대는 17일 판교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함정기술연구소 개소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김성준 HD한국조선해양 대표, 주원호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 대표,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장 등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했다.
함정기술연구소는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의 함정기술센터를 확대 개편한 조직으로 HD한국조선해양 내 미래기술연구원 산하 조직으로 운영된다.
미래기술연구원은 HD현대의 R&D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조직이다. 미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 그룹 내 주요 사업군에 필요한 응용 기술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HD현대는 이번 출범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함정시장에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융합 체계를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미래기술연구원이 보유한 전동화, 디지털, 인공지능(AI) 기술의 신속한 접목이 가능해져 미래 함정 원천기술 선점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미래기술연구원은 전기 추진 함정의 핵심인 드라이브(선박 추진용 전력변환장치)를 독자 개발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실증에 성공한 상선용 AI 솔루션의 고도화에도 힘쓰고 있다. 이를 통해 HD현대는 해군의 차세대 함정 개발과 함께 수출 함정용 모델을 개발, 글로벌 함정시장을 집중공략할 방침이다. 실제로, 영국의 군사 전문지 ‘제인스’(Janes Market Forecast)에 따르면, 올해부터 향후 10년간 신규 발주가 예상되는 함정 수는 약 1100척, 113조원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D현대는 신설된 함정기술연구소를 거점 삼아 ▲함정 전동화 ▲무인 함정 개발 ▲수출 함정 경쟁력 강화 등의 3대 함정사업 핵심전략을 추진, 글로벌 함정시장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함정 분야 우수 전문 인력도 지속적으로 확충해나갈 계획이다.
- [총수의 참모들⑥] 정기선 시대 HD현대그룹 두 ‘브레인’ 김성준‧김완수
- 정기선 HD현대·김동관 한화 부회장, 그리스에서 KDDX 수주 '탐색전'
- 정기선 부회장 8년 전 선택, ‘시총 6위’ HD현대그룹 ‘질주’ 만들었다
- [총수의 참모들④] K 방산 위용...'김동관의 한화'에 힘싣는 정인섭·안병철
-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200억원치 주식을 매입해야 했던 속내는?
-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실적·M&A 모두 순항 ‘겹경사’
- “HD현대, 조선·전력기기·선박A/S가 연결 실적 견인”
- [총수의 인맥지도⑤] '정기선의 10년'...오일파워 사우디 고위층 인맥 화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