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이익환원 정책에 대한 오해 점차 풀릴 것, 올해도 자사주 매입 전망

[인사이트코리아 = 장원수 기자] 하나증권은 30일 SK텔레콤에 대해 주주이익환원 정책 신뢰를 회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SK텔레콤을 향후 12개월 및 6월 Top pick으로 제시하는 데 추천 사유는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가장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고, 투자가들의 믿음이 낮아지고 있지만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 가능성이 높다”라며 “주주이익환원 수익률로 보면 과도한 저평가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홍식 연구원은 “특히 6월엔 상대적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한다”라며 “통신사 주주이익환원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가장 우수한 주주이익환원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실상 통신사 이익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이라 주주이익환원 수익률이 돋보이는 SK텔레콤을 집중 공략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최근 SK텔레콤은 연결 실적 기준 순이익의 50% 이상을 배당하겠다는 중장기 배당 정책을 발표했다”라며 “더불어 1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는 성장을 위한 투자가 필요한데 지난해 주주이익환원 수준을 지속하기엔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따라 투자가들 사이에선 2024년에는 자사주 매입/소각이 어려운 것이 아니냐, 올해 추정 이익 및 배당 성향으로 보면 오히려 배당금이 줄어드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며 “하지만 설사 단기 이익 감소가 나타난다고 해도 지난해 수준의 주당배당금(DPS)은 유지될 것이며 비록 3000억원 수준은 아니더라도 2024년에도 자사주 매입/소각이 이루어질 공산이 크다”고 판단했다.

그는 “이러한 판단을 하는 이유는 이익 정체에도 불구하고 생산설비투자(CAPEX) 감소로 올해 현금흐름은 오히려 개선될 것이며 연결기준 배당 성향 50%는 하한선일 뿐 과거와 달리 상한선은 정해진 것이 없고 현 주가 및 조달 금리 수준에선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한 주식수 줄이기가 유효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여전히 올해 2000억원 수준의 자사주 매입/소각이 유효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SK텔레콤은 실적/주주이익환원/수급적인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면모를 드러낼 전망”이라며 “기저효과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1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엔 역기저 효과가 없는 관계로 3사 중 유일하게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의 영업이익 달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주주이익환원 수익률에서도 여전히 우수한 면도를 드러내고 있다”라며 “기대배당수익률이 7%, 주주이익환원 수익률이 9%에 달하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여기에 낮아진 외국인 지분률이 오히려 호재로 부각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역으로 보면 외국인 매수 여력이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특히 자사주 매입/소각에 대한 기대감으로 외국인들이 순매수로 전환한다면 파급력이 클 수 있어 기대를 갖게 한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사이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