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코리아 = 정서영 기자] 최근 금융, IT 등 업계를 막론하고 뜨거운 관심을 받는 분야가 있다. 바로 ‘스테이블코인’. 쉽게 말해 카카오페이에 들어있는 페이머니 1원과 코인 한개가 연동됐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테이블코인은 말 그대로 가치가 고정된 코인으로, 비트코인처럼 가격 등락이 심한 코인들과 달리 가격 변동성이 적어 코인을 온라인 포인트나 현금처럼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바꿀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스테이블코인에 업계는 열광할까. 그동안 유지돼 온 금융 프로세스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인터넷의 등장에 비유될 정도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본다.

실제 스테이블코인이 사용되면 현재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결제가 가능해진다.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자산을 전송해 중개 기관의 개입은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처리 속도는 단축되며, 수수료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 이면에는 그림자도 자리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해 익명성은 보장되지만, 자금 세탁 등의 용도로 악용될 수 있다. 별다른 제한 없이 빠르게 송금할 수 있어 불법 자금의 경우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어렵다.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이 국내 본격 도입되기 전, 정부는 발행 자격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명확한 규정을 제시해야 한다. 명확한 가이드라인 없이 생태계가 형성되면 과거 테라-루나 사태와 같은 피해 사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최근엔 시장이 형성되기도 전 과열 양상을 보인다. 스테이블코인이 사업 계획에 들어가면 특정 기업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이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도입 기대감을 악용해 구체적 사업 로드맵이나 인프라 없이 주가가 급등하는 상장사에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확실히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금융 혁신은 분명 매력적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무분별한 투기로 변질되거나 시장의 건전성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업계와 당국의 균형 잡힌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무엇보다 주저하다가는 미국의 달러 패권 강화 움직임에 국내 시장의 기회를 빼앗길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선 안된다. 정부는 신중함과 속도를 모두 잃지 않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정서영 인사이트코리아 기자
정서영 인사이트코리아 기자

 

저작권자 © 인사이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