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건설·대우건설 등 건설사 대표, 안전사고·주택 정책 현안 질의
한화솔루션·LX하우시스 등 계열사 M&A·납품 단가 의혹 집중 점검

국회가 10월 진행될 국정감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중소기업벤처부, 국토교통위원회 등 정부 부처 관련 주요 산업계 경영진을 증인으로 부른다. 사진은 지난 2024년 국회 전경 모습.<뉴시스>
국회가 10월 진행될 국정감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중소기업벤처부, 국토교통위원회 등 정부 부처 관련 주요 산업계 경영진을 증인으로 부른다. 사진은 지난 2024년 국회 전경 모습.<뉴시스>

[인사이트코리아 = 이세령 기자] 국회가 10월 진행될 국정감사에서 산업계 핵심 경영진을 증인으로 소환한다.

2일 국회에 따르면, 공정위와 산자위에서는 부당지원·기술탈취 의혹 관련 증인이 출석한다.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에서는 주요 건설사 대표들이 출석해 안전사고, 부실시공, 재무 건전성 등을 따진다.

정무위는 지난 9월 29일 전체회의에서 2025년 국정감사와 관련해 증인 32명, 참고인 9명을 부르기로 했다. 정무위 피감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 감사에선 노진서 LX하우시스 대표(납품단가 후려치기 의혹)와 정현호 삼성전자 부회장(삼성 웰스토리 부당지원 행위 사건 관련)이 증인으로 이름을 올렸다. 

정무위는 삼성 웰스토리에 사내 급식 일감을 몰아주고 유리한 계약 조건을 제공한 ‘부당지원 행위’ 사건과 관련해 정 부회장을 증인으로 부른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공정위는 해당 사건을 부당 내부거래로 판단해 2349억원 과징금을 부과했다. 정 부회장에게는 경쟁 입찰 방해와 일감 몰아주기 의혹에 관한 질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하 산자위)는 지난 25일 증인 15명과 참고인 12명을 채택했다. 중소기업벤처부와 특허청 국감과 관련해 남정운 한화솔루션 대표가 오는 29일 증인으로 출석한다. 

산자위는 남 대표를 불러 ‘한화 계열사 M&A 과정 기술탈취 의혹’에 대해 질의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증인 채택을 통해 계열사 간 M&A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탈취 문제와 경영진 책임 여부를 집중 점검한다.

국토위, 건설사 CEO 대거 소환…안전·재무·정책 등 종합 점검

국토위도 이번 국감을 앞두고 건설사 경영진을 대거 증인으로 채택했다. 일반증인 26명 중 절반인 13명이 건설업계 대표이사다. 국토위는 이들로부터 안전사고와 주택 정책 관련 현안을 묻는다. 

특히 김건희 특검과 여러 의혹에 올라가 있는 서희건설이 집중포화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는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과 김원철 대표를 불러 주택 공급, 건설정책, 구조적 문제 진단 및 제도 개선 방안과 관련해 집중 질의한다. 서희건설은 주력 사업인 지역주택조합 관련해 구조적 리스크와 오너 일가 관련 정치·사업 리스크가 겹치면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이 밖에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 박세창 금호건설 부회장, 손형관 유림건설 대표 등이 증인으로 이름을 올렸다.

건설사 경영진 대거 소환의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최근 5년 이내 반복된 건설현장 사망사고와 중대재해가 주요 요인으로, 국토위는 사고 발생 건설사를 중심으로 증인을 선정했다.

이번 국감에선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로 건설사 재무 건전성과 유동성 문제도 중점적으로 다룬다.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 등은 민간 개발 사업과 관련한 유동성 현황 점검과 대책 마련을 묻기 위해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토위는 이번 국감을 통해 건설사 안전사고 증가, 민간 개발·특례사업 관련 유동성, 부실시공 사례, 건설사 갑질 문제 등 국민 안전과 직결된 다양한 현안을 확인할 계획이다.

한편 2025년도 국정감사는 오는 13일 시작돼 약 3주간 진행된다. 국회 입법조사처 등은 형식적 조사보다는 핵심 쟁점에 선별적으로 집중하는 방식으로 국감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인사이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