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16℃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18℃
    미세먼지
  • 울산
    B
    14℃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16℃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Y
    17℃
    미세먼지
  • 경남
    B
    16℃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최종편집2024-04-26 18:52 (금) 기사제보 구독신청
[은행원의 위기] 사라지는 점포, 퇴출 내몰리는 직원
[은행원의 위기] 사라지는 점포, 퇴출 내몰리는 직원
  • 이일호 기자
  • 승인 2019.01.04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B국민·신한·우리, 연초 지점·출장소 33곳 축소 방침...인력 구조조정, 금융 공공성 약화 우려

[인사이트코리아=이일호 기자] 시중은행들이 점포 줄이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빠른 디지털화로 내방고객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은행으로선 비용을 줄이는 차원이지만 구조조정 ‘칼바람’이 가속화되면서 직원 고용불안과 더불어 핀테크 소외계층의 불편함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 중 KEB하나은행을 제외한 KB국민·신한·우리은행은 올해 들어 총 33곳의 지점과 출장소를 줄이는 방침을 세웠다.

KB국민은행은 오는 2월 말까지 13곳(지점 6곳, 출장소 6곳, PB센터 1곳)을 폐쇄할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지난 2일 종로6가 지점 등 11곳(출장소 5곳)을 없애기로 했다.

신한은행 또한 안국역점 등 5개 지점과 2개 출장소를 통폐합 방식으로 줄이고, 다음달 11일에는 충북 북문로지점을 충북영업부금융센터와 통합한다.

아직 지점 통폐합 계획을 세우지 못한 KEB하나은행을 빼더라도 올해 1분기 시중은행 지점 33개가 사라지는 셈이다. 이는 2017년 12월 말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3분기 동안 줄어든 은행 점포(30곳)보다도 많은 숫자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4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3557곳으로 1년 사이 56곳 줄었다. 연 단위로 보면 2015년 12월 말 3924곳이었던 게 2년 9개월 만에 367곳이나 감소했다. 이 기간 전국 은행 점포 열 곳 중 한 곳이 없어진 셈이다.

이들 시중은행은 대신 ‘탄력점포’를 늘리는 추세다. 탄력점포는 관공서 소재 점포, 상가 및 오피스 인근 점포, 무인 자동화기기 점포 등으로 기존 점포보다 인건비 등 비용이 덜 들고 은행 업무 시간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은행권의 탄력점포 수는 720개로 지난 2016년 12월 말(596개) 대비 124개(20.8%) 늘었다. 특히 무인 자동화기기의 경우 지난 2년 새 39개에서 84개로 크게 증가했다. 금융소비자들 가운데 업무시간에 은행 일을 보기 힘든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은행 비용 감축 이면에 구조조정·금융소비자 소외

최근 시중은행들이 점포 감축에 속도를 내는 데는 금융당국 규제가 주된 이유로 꼽힌다. 금융당국은 최근 몇 년 새 은행들의 지점 폐쇄 속도가 빨라지자 ‘핀테크 소외계층’의 불편 등을 이유로 자제시키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감독 혁신과제’를 발표하면서 연내 ‘지점폐쇄 모범규준’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올해 안에 해당 규준을 만들어 은행권에 적용할 방침이다. 은행들로서는 규준이 나오기 전에 지점을 줄이겠다는 계산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점포 감축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탄력점포를 늘리거나 ‘허브앤스포크(Hub and spoke)’ ‘숍인숍(Shop in shop)’ 형태로 점포를 통합해 활용하는 등의 사업 전략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지점이 줄어드는 데 따른 비용 감축 효과는 크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임차료인데 이 돈이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각사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까지 4대 시중은행이 임차료로 낸 금액은 7278억원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이 190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1857억원), 신한은행(1798억원), 하나은행(172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2017년 한 해 이들 은행이 임차료로 쓴 돈만 1조원에 육박한다. 지점이 줄어들수록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이 줄어든다.

점포를 없애면서 인력 구조조정도 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7년 9월 말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1년 간 4대 시중은행에서 1200명에 달하는 직원이 순유출됐다. 그나마 2016년 9월~2017년 9월 사이 구조조정 여파로 4000명 넘는 직원이 빠져나간 것과 비교해 줄어든 수치다.

은행의 인적 구조는 대체로 ‘항아리형’으로 인사적체가 심한 편이다. 더불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에 달해 은행 경영진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인력 구조조정 유혹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은행들은 명예퇴직·희망퇴직·임금피크제 등 각종 수단을 활용해 인건비를 줄이고 있고, 최근엔 기존 직원이 빠져나간 자리에 신입직원을 뽑지 않는 추세다.

이로 인한 고객 불편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뱅킹 등 비대면 채널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의 경우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수익성에 중점을 둔 지점의 연쇄 폐쇄조치가 소비자 불편을 야기하고 나아가 금융 공공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 지점 폐쇄는 핀테크가 활성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다만 금융 공공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감독 당국이나 은행들은 촘촘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