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미세플라스틱,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

[인사이트코리아=장원수 기자]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회용기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일회용기 16종과 다회용기 4종을 시험 평가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시험 결과를 보면, 일회용기에서는 개당 적게는 1.0개, 많게는 29.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반면 다회용기에서는 개당 0.7~2.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왔다.
용도가 비슷한 용기끼리 비교했을 때는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이 적게는 2.9배에서 많게는 4.5배까지 더 많았다.
미세플라스틱이란 통상 5㎜ 미만의 플라스틱 조각을 뜻한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컵과 포장용기의 주 원재료인 페트(PET·47.5%)가 가장 많았다. 이어 폴리프로필렌(PP·27.9%)과 폴리에틸렌(PE·10.2%)이 뒤를 이었다.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377잔)을 고려했을 때, 커피를 모두 일회용컵으로 마신다고 가정하면 개인별로 노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은 연간 2639개에 달했다.
소비자들이 주 1.9회 정도 배달음식을 주문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미세플라스틱 노출량은 더 늘어난다.
소비자원은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은 아직 과학적으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다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점을 고려할 때 배달과 포장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저작권자 © 인사이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