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리지 털고 화물 사업 매각....한진, 아시아나 물 빼기 ‘본격’
2월 들어 ‘마일리지 소진·빚 청산·화물 매각’ 일사천리 일부 이슈에서 반발 목소리도, 속도 조절 필요성 제기
[인사이트코리아 = 심민현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지난해 연말 대한항공과의 기업 결합 이후 2026년 10월로 예정된 통합으로 가는 길을 가볍게 하기 위해 해묵은 숙제를 하나 둘 풀고 있다. 다만 마일리지 소진, 화물 매각 등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 있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통합 전 준비 작업 ‘일사천리’
28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2월 들어 김포~제주 노선에 마일리지 좌석 1만3000석을 공급한다고 밝힌 데 이어 화물기 사업 매각, 정책자금 상환 등을 일사천리로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정책자금 상환은 여부없이 아시아나항공에 긍정적인 이슈로 꼽힌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26일 채권은행(산업은행ᆞ수출입은행) 차입금을 전액 상환 완료했다.
2019년 정책자금 차입 후 잔여 대출 1조3800억원 상환을 마지막으로 6년 만에 정책자금을 전액 상환한 것이다. 이번 상환은 전액 금융시장을 통해 조달했으며 약 10년 만에 신용을 기반으로 대규모 자금조달에 성공했다. 상환 자금 대부분은 은행 5곳이 공동으로 융자를 내주는 신디케이트론 방식을 통해 마련됐다.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신용도가 높아진 효과를 톡톡히 누리는 셈이다.
‘마일리지 소진ᆞ화물 매각’은 반발 목소리도
반면 마일리지 소진과 화물 매각은 반발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8일 다음 달 김포~제주 노선에 마일리지 좌석 1만3000석을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편도 기준 이코노미클래스 5000마일, 비즈니스클래스 6000마일을 공제하는 조건으로 지난해 11월 초부터 벌써 네 번째다. 이번에 나온 마일리지 좌석을 합치면 모두 3만7000석에 이른다.
아시아나항공이 마일리지 소진을 서두르는 이유는 통합 대한항공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다. 양사는 각사 시스템대로 마일리지 제도를 운용하다가 2026년 10월 통합과 함께 마일리지 제도 역시 통일한다. 문제는 대한항공 마일리지가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 대비 최대 1.5배 더 가치가 높다는 데 있다.
결국 통합 전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최대한 많이 털어내지 않을 경우 대한항공 재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마일리지는 재무제표상 항공사의 부채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마일리지를 털어내지 않고 손해를 줄이려면 탑승 마일리지 비율을 1대 0.9 혹은 1대 0.7로 맞춰야 한다. 하지만 기존 아시아나항공 고객들의 강한 반발이 뻔히 예상되기에 현재로선 잡음이 적게 나올 선택지는 많지 않다.
한편, 해당 마일리지 항공권이 제주도 등 국내선에 한정돼 있어 이 역시 ‘반쪽짜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아시아나항공과 같이 대형 항공사를 애용하는 고객들은 미국, 유럽 등 국제선에서 비즈니스, 퍼스트클래스를 경험하기 위해 마일리지를 적립해왔지만 사실상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실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럴 거면 마일리지 정책을 도대체 왜 운영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생색만 낸다“ 등의 고객 불만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화물기 사업 매각도 마찬가지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25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에어인천에 화물기 사업을 매각하기로 의결했다. 화물기 사업 매각은 대한항공과의 기업 결합에 대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EC)와 일본 공정거래위원회의 승인 조건이다. 오는 6월 10일까지 화물기사업부의 에어인천 물적, 인적 이관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으로 이관 대상은 보잉747 화물기 10대와 보잉 767 화물기 1대 총 11대의 화물기와 약 800명의 직원이다.
이처럼 형식적 절차를 마무리했지만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는 고용과 복지, 처우 부문 승계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조종사 노조는 지난해 사측을 상대로 화물기 사업 매각을 결정한 이사회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법원은 해당 신청을 각하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제주 노선에 마일리지 항공권 공급량을 늘린 것은 국제선 대비 수요가 높기 때문“이라며 “예약률이 98%에 달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말했다. 조종사 노조의 반발과 관련해선 “이관 대상 직원들과 지속적인 미팅을 통해 화물기 사업부 이전이 원활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