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3분기 영업익 1조4614억원…전년比 1828%↑
매출 3조5520억원, 당기순이익 1조7385억원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 상승 등 영향
[인사이트코리아 = 심민현 기자] HMM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828% 증가한 1조4614억원으로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조5520원, 당기순이익은 1조73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0%, 1722.0% 상승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HMM의 3분기 컨센서스를 매출 3조3653억원, 영업이익 1조1818억원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실제 공시된 실적은 이를 훌쩍 뛰어넘으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특히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5848억원)의 2.5배가 넘는 수치이며 올해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조원을 넘겼다. HMM이 마지막으로 분기 조단위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기간인 2022년 4분기(1조2588억원)였다.
이는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지정학적 리스크로 지난해 3분기 평균 986p였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올해 3분기 평균 3082p로 상승한 영향이다. 또 신규서비스(아시아~멕시코) 개설, 1만3000TEU(1TEU는 6.1m 컨테이너)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투입, 고채산 화물 증가 등 수익성 위주의 영업 강화도 호재로 작용했다.
올해 4분기에는 전통적인 비수기 진입으로 전반적 시황 약세가 예상된다. 다만 미국 동안 항만 파업 영향 및 스케줄 지연에 따른 공급 불안정은 지속될 전망이다.
HMM 관계자는 “내년 2월 새 해운동맹인 프리미어얼라이언스와 MSC의 협력으로 항로 및 지역별 수급 변화에 맞춰 최적의 운송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사업 다각화 및 신규 수익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라며 “벌크 부문의 경우 4분기는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하지만 중국 경기 회복 여부 등 경제 불확실성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화물계약 연장 및 신규 계약 확보 추진 등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