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이마트와 백화점으로 분리...정유경, 회장 승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과 무게 중심 축 양분 모친 이명희 총괄회장 ‘남매 경영’ 빅피쳐 현실화
[인사이트코리아 = 손민지 기자] 정유경 신세계그룹 총괄 사장이 ㈜신세계 회장으로 승진했다.
신세계그룹은 30일 정기 임원인사에서 정 총괄 사장이 회장으로 승진했다고 30일 밝혔다. 2015년 12월 신세계 총괄 사장에 오른 지 9년 만에 생긴 변화다. 정 신임 회장은 이명희 총괄회장 딸이자 정용진 회장의 여동생이다. 이번 인사로 정유경 회장은 백화점 부문을 진두지휘하게 됐다.
이번 계열 분리 배경에 대해 신세계그룹은 “올해 본업 경쟁력 회복을 통한 수익성 강화 측면에서 성공적인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간 물밑에서 준비해 온 계열 분리를 시작하는 데 적절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 총괄회장은 지난 2011년 이마트와 백화점을 2개 회사로 분할하고 아들인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에게는 이마트를, 딸인 정유경 회장에게는 백화점 사업을 각각 맡겼다. 이를 위해 이 총괄회장은 20여년간 순차 증여와 주식 교환 등을 통해 이마트와 신세계가 계열사를 구분하는 작업을 벌여왔다. 2019년부터는 ㈜신세계와 ㈜이마트가 실질적인 지주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백화점 부문과 이마트 부문을 신설, 계열 분리를 준비해 왔다.
현재 정용진 회장과 정유경 회장은 각각 이마트 지분 18.56%, 신세계 지분 18.5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이 총괄회장은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0.0%씩 보유하고 있다. 이마트 주요 계열사로는 SSG닷컴(쓱닷컴), G마켓(지마켓), SCK컴퍼니(스타벅스), 이마트24, 신세계프라퍼티(스타필드), 신세계푸드, 조선호텔&리조트 등이 있다. 신세계는 백화점 사업을 영위하며 신세계디에프(면세점)와 신세계인터내셔날(패션·뷰티), 신세계센트럴시티, 신세계까사, 신세계라이브쇼핑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정유경 회장의 승진 인사 배경에 대해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계열 분리의 토대 구축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룹 관계자는 “그룹을 백화점 부문과 이마트 부문이라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분리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것으로, 이번 인사를 시작으로 향후 원활한 계열 분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역량을 모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인사를 통해 한채양 이마트 대표이사 부사장은 사장으로 승진한다. 한채양 부사장이 함께 맡고 있던 이마트24는 송만준 이마트 PL‧글로벌사업부장이 대표로 내정됐다. 최근 사업 조정을 통해 혁신을 지속하고 있는 신세계푸드 대표에는 강승협 신세계프라퍼티 지원본부장이 선임됐다. 조선호텔앤리조트 대표에는 전상진 이마트 지원본부장이 내정됐고, 신세계L&B 대표에는 마기환 대표를 외부에서 영입했다. 신세계야구단 대표에는 김재섭 이마트 기획관리담당이 발탁됐다.
김홍극 신세계까사 대표는 신세계인터내셔날 뷰티&라이프부문 대표를 겸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