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3분기에도 내수 부진 지속 전망과 비수기 돌입이 부담으로 작용”

2분기에도 판매량 부진과 판매가격 하락의 부정적 영향 예상

2024-07-04     장원수 기자

[인사이트코리아 = 장원수 기자] 하나증권은 4일 현대제철에 대해 영업실적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박성봉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제철의 2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5.6% 줄어든 6조283억원, 영업이익은 86.8% 감소한 615억원으로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 1320억원을 크게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박성봉 연구원은 “판재류 및 봉형강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증가는 하나 당초 기대치를 하회하는 447만톤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고로 제품은 평균판매가격(ASP)이 전분기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대략 톤당 1만원 수준의 스프레드 확대가 예상되는데 전기로 제품은 ASP가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원재료 가격도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스프레드가 1분기와 유사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대신 ASP 하락에 따른 재고 평가 손실이 500억원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과 동시에 개보수 관련 각종 일회성 비용이 주된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지난 1분기 200억원 규모의 재고평가손실을 기록했던 현대스틸파이프의 흑자전환을 비롯해 자회사들 수익성은 전분기 대비 개선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건설경기 부진과 봉형강 여름철 비수기임을 감안하면 현대제철의 3분기 전체 강재 판매량은 438만톤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중국의 철광석 수입가격이 2분기 평균 톤당 113달러를 기록했고 7월 초 현재도 11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3분기 현대제철의 고로 원재료 투입단가는 2분기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국내 철강 유통가격이 추가 하락보다는 바닥을 형성하는 분위기인데 특히 철근의 경우 제강사들이 적극적인 감산을 통해 수급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가격 할인 지양 정책 등을 발표하면서 최근 유통가격이 강세로 전환되기도 했다”며 “3분기 현대제철의 스프레드는 고로 및 전기로 제품 모두 2분기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2분기의 각종 일회성 비용이 제거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3분기에 현대제철은 전년 동기대비 50.3% 감소한 113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올해 연간 실적추정치 하향으로 목표주가를 하향한다”라며 “영업실적 부진이 당초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있지만 올해 하반기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철강 생산 규제로 중국의 철강 수급 개선과 수출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내년에는 철근 내수 판매도 올해보다는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가 유효한 시점”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현재 주가는 주가순자산비율(PBR) 0.2배로 밴드 최단에 근접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