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최종편집2024-04-24 10:13 (수) 기사제보 구독신청
[핫 키워드] 서번트 증후군
[핫 키워드] 서번트 증후군
  • 노철중 기자
  • 승인 2022.07.21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한 장면. 뉴시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한 장면. <뉴시스>

[인사이트코리아=노철중 기자] 최근 인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인해 서번트 증후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번트 증후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의 임상적 양상 중 하나로 이 병을 앓는 사람이 기억, 암산, 퍼즐, 음악, 미술 등 특정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것을 가리킨다. 드라마 속 주인공인 우영우는 탁월한 기억력 덕분에 법 관련 서적을 전부 외울 수 있어 서울대 로스쿨을 수석으로 졸업한 변호사다. 하지만 다른 사람과 눈을 제대로 마주치지 못하거나 청각이 예민해 길을 걸을 때는 항상 헤드셋을 쓰고 다니고 일상적인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해 현실적 어려움도 겪는다. 일각에서는 자폐이면서 특별한 재능을 갖는 것을 ‘고기능 자폐’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고기능 자폐 범주에는 아스퍼거 증후군도 포함된다.

자폐증은 과거 국내에서도 여러 편의 영화와 드라마로 다뤄졌다. 2013년 드라마 ‘굿닥터’는 주인공이 의사로서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외에도 영화 ‘증인’ ‘그것만이 내 세상’ 등에도 자폐 주인공이 등장한다.

국내에서는 서번트 증후군 변호사 사례가 없지만 미국에 실제 인물이 존재한다. 플로리다주의 변호사 헤일리 모스가 그 주인공이다. 로스쿨 졸업 후 2019년 로펌에 들어가 반테러·의료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로 활동했다. 2020년 로펌을 그만둔 이후에는 미국 장애인법과 관련된 직장 정책을 컨설팅하는 사업가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기차 회사 테슬라의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도 자폐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유명 TV 프로그램에 나와 자폐증의 또 다른 임상적 양상인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다고 직접 밝혀 화제가 됐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주변 환경을 남들과 다르게 이해하고 판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정 관심 분야에만 집중하거나 우회적인 언어를 사용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드라마와 다른 자폐증 환자의 현실

하지만 자폐증은 영화나 드라마의 장애를 극복한 성장 스토리와 달리 역사적 비극을 함께 가지고 있다. 1944년 아스퍼거 증후군을 처음 발견한 오스트리아 의사 한스 아스퍼거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우생학적 관점에 따른 안락사 정책에 부역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는 살 가치가 있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를 구분하는 일을 했다고 한다.

소아과 의사였던 아스퍼거는 자신이 진료한 어린이 환자들을 오스트리아 빈의 암슈피겔그룬트 클리닉에 보냈다. 이곳에서 1940년부터 1945년까지 800명에 가까운 아이들이 죽었다. 이 중에는 남들과는 다른 행동을 보이는 자폐증을 앓는 아이들이 포함됐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화·드라마 속 특별한 능력을 지닌 서번트·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과는 달리 실제 자폐증 환자들은 많은 현실적 어려움에 처해 고통받고 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도 주인공과 같은 자폐증을 앓고 있지만, 특별한 재능을 갖지 못한 자폐아는 폭력적 성향 때문에 자신의 친형을 살해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는다. 이 환자는 일상적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아동의 약 1~2%에서 발병하는 신경발달장애다. 유형이 매우 광범위해 ‘스펙트럼’이라는 말이 붙었다고 한다. 주로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정서적 상호작용의 문제, 반복적 행동과 제한된 관심 등이 특징이다. 발병 원인은 유전·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뇌의 구조 및 기능 발달 이상과 관련된다는 보고가 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인구는 2010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3만1000명에 달해 10년 새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