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보통
  • 경기
    R
    14℃
    미세먼지 보통
  • 인천
    R
    14℃
    미세먼지 보통
  • 광주
    H
    18℃
    미세먼지 보통
  • 대전
    H
    15℃
    미세먼지 보통
  • 대구
    R
    15℃
    미세먼지 보통
  • 울산
    R
    14℃
    미세먼지 보통
  • 부산
    R
    13℃
    미세먼지 보통
  • 강원
    R
    14℃
    미세먼지 보통
  • 충북
    R
    14℃
    미세먼지 보통
  • 충남
    H
    14℃
    미세먼지 보통
  • 전북
    R
    16℃
    미세먼지 보통
  • 전남
    R
    17℃
    미세먼지 보통
  • 경북
    R
    15℃
    미세먼지 보통
  • 경남
    R
    16℃
    미세먼지 보통
  • 제주
    Y
    19℃
    미세먼지 보통
  • 세종
    R
    14℃
    미세먼지 보통
최종편집2024-04-19 19:07 (금) 기사제보 구독신청
최정우 포스코 회장 최대 배당에도 주주 반응 냉담한 까닭
최정우 포스코 회장 최대 배당에도 주주 반응 냉담한 까닭
  • 서창완 기자
  • 승인 2022.02.09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결산 23일 전 30% 배당성향 강조했는데 19.4% 그쳐
일부 주주들, 최 회장이 약속 어겼다며 반발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달 2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의장 인사를 하고있다.포스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달 2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의장 인사를 하고있다.<포스코>

[인사이트코리아=서창완 기자] 포스코가 역대 최대 규모 배당을 했는데도 일부 주주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올해 초 주주서한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포스코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면서 30% 배당성향을 맞추기 부담스러워졌을 것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일부 주주들은 적절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최 회장이 배당성향 이행을 재차 약속한 게 지난달인데 이는 지난해 실적을 감안해서 말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최 회장이 주주들을 기만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최정우 회장, 한 달 전 배당성향 30% 강조

포스코는 중기배당정책까지 정해 주주환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2020~2022년 포스코 중기배당정책은 배당성향 30% 수준 유지다. 최 회장은 한 달 전에도 주주 친화정책을 강조했다. 지난달 5일 보낸 주주서한에는 “2022년까지 연결배당성향 30% 수준을 유지할 것이고 그 이후 기업가치 증대를 고려해 최소 1만원 이상 배당할 계획”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사회를 23일 앞둔 시점에 나온 주주서한이었다.

포스코는 홈페이지 투자자정보란에서 주주환원정책을 설명하고 있다.<포스코>
포스코는 홈페이지 투자자정보란에서 주주환원정책을 설명하고 있다.<포스코>

포스코는 지난해 3분기까지 연결배당성향 17.7%를 기록하고 있었다. 상당한 수준의 결산배당이 기대됐던 이유다.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이사회를 열어 주당 배당금 5000원을 결산배당으로 결정했다. 분기배당액 1만2000원을 더하면 총 배당금은 1만7000원이다. 이는 2020년 배당액인 8000원과 비교하면 112.5% 증가한 수치다. 총 배당액 역시 2020년 6203억원보다 2배 이상 많은 1조2856억원이 지급됐다.

배당액으로만 보면 역대 최대 액수다. 포스코 배당금은 2011~2020년 10년 동안 8000원(7차례), 1만원(3차례)이었다. 총 배당액 역시 6180억~8012억원 수준으로 매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과거와 비교해 올해 배당금이 높은 수치인 점은 분명하다.

<자료: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하지만 배당성향으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포스코의 지난해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 당기순이익(종속회사의 지분율을 반영한 순이익)’ 비중 배당금 비율은 19.4%에 그쳤다. 2011~2021년 배당성향 가운데 가장 낮다. 최근 포스코 배당성향은 2018년 47.3%, 2019년 43.7%, 2020년 38.7%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포스코가 배당성향을 맞추지 못한 이유를 실적 때문으로 보고 있다. 사상 최대 실적이 걸림돌이 됐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포스코는 매출 76조3323억원, 영업이익 9조2381억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지배기업 기준 당기순이익은 6조6170억원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회사 입장에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배당을 집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철강 산업이 경기에 민감하다보니 포스코가 종합적인 판단을 했을 거라고 본다”며 “한 번의 호황을 믿고 배당을 높여 놨다가 다음 해에 떨어질 경우 주주에게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배당 안전성을 유지하려는 기조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많이 벌어서 안 준다니…"분할상장 없다" 말 믿겠나

주주들은 많이 벌었기 때문에 배당성향을 맞추지 못했다는 의견에 납득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최 회장이 약속한 배당성향 30% 기준에 맞추려면 포스코는 지난해 1조9851억원의 배당금을 지급해야 했다. 당초 지급 액수에서 6995억원이 배당금으로 더 지급되는 셈인데, 이 정도 부담이라면 지난해 영업활동에서 9조원 넘는 돈을 벌어들인 포스코가 주주 배당에 인색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최 회장이 주주서한까지 보내며 강조했던 배당성향 약속을 어기면서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에 대해서도 일부 주주들은 의구심을 갖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열린 임시 주총에서 물적분할을 확정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12월 10일 이사회에서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는데, 이후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컸다. 물적분할은 모회사의 특정사업부를 신설회사로 만들고 이에 대한 지분을 100% 소유해 지배권을 행사하는 기업 분할 방식이다. 모기업 주주는 신설회사 주식을 받을 수 없는 데다 사업회사가 상장한 뒤 지주사 가치가 하락하는 일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빈번했다. 최근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이 대표적이다.

이를 의식한 포스코는 물적분할을 하면서 기업공개(IPO)를 통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는 식의 ‘쪼개기 상장’을 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지난달 4일 회사분할 결정에 대한 주요사항보고서 공시를 통해 정관에 신설 조항을 추가했다.

포스코는 ‘별첨7 분할신설회사 정관’에서 “본 회사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 이와 유사한 국내외 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단독주주인 주식회사 포스코홀딩스(2022년 3월 2일 사명변경 예정)의 주주총회 특별결의에 의한 승인을 얻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주주총회 특별결의는 총발행주식 중 3분의 1 이상, 주총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만 통과되는 요건이다. 2020년 말 기준 포스코 소액주주 비율이 74.3%라는 점에서 특별결의 통과가 쉽지는 않다. 상황이 다르지만 특별결의는 LG화학이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을 결정할 때도 했던 방식이다. 당시 LG화학 주총에서는 82.3%로 통과됐다. 포스코 주주들은 배당성향 약속도 아무 해명 없이 어긴 만큼 포스코가 정관을 개정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갖고 있다.

소액주주 권익을 대변하는 경제개혁연대는 지난달 5일 “포스코의 특별결의 정관을 모회사인 포스코홀딩스에도 필수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주주 입장에서는 주총을 앞둔 시점에 주주 친화정책을 내세우다가 일이 해결되고 나니 말을 바꿨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어느 정도 이익을 예상할 수 있었을 때 나온 CEO의 발언인 만큼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