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18℃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18℃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최종편집2024-04-18 19:19 (목) 기사제보 구독신청
이병철과 독일기업의 경영비법
이병철과 독일기업의 경영비법
  • 민석기 기자
  • 승인 2016.03.30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암이 말하는 사업의 제1원칙

호암은 ‘믿지 않으면 사람은 떠나고 만다’고 생각했다. 호암은 1976년 6월 서울경제신문에 쓴 ‘재계회고’에서 “아무리 유능하고 성실한 사람을 주위에 모았다고 해도 이편에서 그것을 신뢰하지 않으면 그들을 한 집에 결집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들의 능력을 헛되이 소비시켜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들을 한 집에 결집시키는가의 여부는 경영자가 그들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는가 아니하는가에 달렸다”고 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잿더미 속에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한 독일은 6·25 한국전쟁 이후 경제발전을 추진하려는 한국에게 모범이 됐다. ‘한강의 기적’이 ‘라인강의 기적’에 비유되는 것 역시 이런 관계를 잘 대변해 준다.
독일에 독일연방공화국(서독)이 수립되고, 한국에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면서 양국은 분단이라는 운명을 함께 하며 정치, 경제, 문화 및 학술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양자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독일연방공화국은 1960년대 초부터 한국에 처음으로 자본을 원조해 준 나라였다. 공공차관 형태로 이뤄진 이 자본원조를 통해 기술과 경영노하우를 한국에 전하기 위해 수많은 독일 기술자, 농업경영자, 산림전문가, 의사 및 기타 전문가들이 한국으로 왔다.
오늘날 독일기업들은 한국에서 높은 명성을 얻고 있으며, 어려운 시기에도 변함없이 신뢰할 수 있는 장기적인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다. 지멘스, 바스프, 데구사, 다임러크라이슬러, 알리안츠와 같은 독일 대기업들은 한국에 대대적인 투자를 했다. 독일의 중심을 이루는 중소기업들도 많은 투자활동을 하고 있는데, 무엇보다 부품과 기술공급업체로서, 특히 자동차산업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61년 12월 13일 ‘경제와 기술원조에 관한 의정서’ 체결을 기초로, 독일은 한국에 자본을 원조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제공된 최초의 자금 원조였다. 한국은 이 자금으로 전신전화 설비, 전기공급, 철도 신호체계, 부산의 상하수도 사업 등 사회간접자본시설 건설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양국의 기술협력은 1961년부터 시작됐는데, 1962년 3월 독일이 47만 5천 달러를 지원해 인천에 한독 직업학교가 설립됐다. 1951년부터 1986년 사이 1,654명의 기술연수생이 독일에 파견돼 독일의 선진기술을 전수받았으며, 같은 시기에 독일의 농업, 임업, 의학 등 각 분야 전문가 4백명 정도가 방한해 한국에 전문기술을 전수해 주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이 외환위기 상황으로 몰린 1997년 11월부터 1998년 중반까지 바스프(BASF) 등 약 50개의 독일 기업들이 각각 1백만 달러 이상을 한국에 투자했다. 
미국·일본 등 여러 나라들이 한국에서 자본을 철수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유독 독일 기업들은 달랐다. 그들은 대규모 투자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해 외환위기 극복에 큰 도움을 주기까지 했다.
송인상 전 효성그룹 고문(1914년생)은 일전에 ‘독일통’인 허영섭 녹십자 회장에게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송 고문은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한·미협회장을 맡은 적이 있는 미국통이었다. 효성은 1990년대 독일의 바스프와 합작해 국내에 화학회사(효성바스프)를 설립했다. 그런데 효성은 1997년 말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유동성 확보를 위해 이 회사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 때 바스프는 효성측 사정을 듣고는 자신들이 회사를 인수하겠다고 했다고 한다. 협상 과정에서 바스프는 합작회사의 인수액을 대충 따지더니 효성 측에 “당신들 요즘 돈이 필요할 테니 우리가 먼저 회사 매입자금을 주겠다”고 했다. 송 고문은 이 때 회사 인수를 위해 회계장부와 인수 조건을 철저히 따지는 미국 기업과 신뢰를 중시하는 독일 기업의 큰 차이를 뼈저리게 느꼈다고 한다.

왜 상호 불신이 싹텄는지 이유를 분석하라

1960~1970년대 한국의 경제개발 과정에서 미국·일본 등도 ‘한국은 희망이 없는 나라’라면서 차관 지원을 꺼리는 상황에서 독일은 무슨 이유로 위험을 무릅쓰고 한국을 도운 것일까. 100% 정답은 아니겠지만, 중론은 이렇다.
독일이 적절한 시기에 한국을 도와준 결정적 이유는 우선 양국이 분단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어 상호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었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독일인들이 한국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로 나가서 성공할 것이란 믿음이 다른 어느 나라보다 강했다는 것이다.
한국은 어떤 아시아 국가보다 높은 교육열과 풍부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독일은 아시아 진출의 교두보로 한국을 활용하려 했던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국의 성공 가능성을 굳게 믿고 지원 사격에 나섰던 것이다.
호암은 ‘믿지 않으면 사람은 떠나고 만다’고 생각했다. 호암은 1976년 6월 서울경제신문에 쓴 ‘재계회고’에서 “아무리 유능하고 성실한 사람을 주위에 모았다고 해도 이편에서 그것을 신뢰하지 않으면 그들을 한 집에 결집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들의 능력을 헛되이 소비시켜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들을 한 집에 결집시키는가의 여부는 경영자가 그들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는가 아니하는가에 달렸다”고 했다.
심지어 상호 불신이 회사를 죽인다고 까지 말했다. 호암은 1978년 9월 12일 경영진에게 “회사는 사람으로 운영된다. 인간 양성이 경영의 기본원칙이다. 회사 내 풍토가 서로 불신하고 신분이 불안하다면 그 조직은 죽은 조직이다. 서로 돕고 이끌어가는 풍토가 아쉽다. 왜 상호 불신이 싹텄는지 이유를 분석하라”고 지시했다.
호암이 신뢰를 ‘사업의 1원칙’으로 삼을 만큼 중요하게 여긴 것은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그의 선친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생활윤리 중에서도 특히 신(믿음)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록 손해를 보는 일이 있더라도 신용을 잃어서는 안 된다’는 말을 호암의 귀에 못이 박히도록 가르쳤다. 
지금이라고 다를 게 없다. 부모가 자녀와 사소한 약속을 하더라도 잘 지켜주면서 신뢰를 가르치는 것, 그것이 매우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출처: 리더스북>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