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H
    17℃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Y
    18℃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최종편집2024-04-24 14:39 (수) 기사제보 구독신청
중소건설사에 채안펀드 50조는 '그림의 떡'...정부 대책 실효성에 의문
중소건설사에 채안펀드 50조는 '그림의 떡'...정부 대책 실효성에 의문
  • 선다혜 기자
  • 승인 2022.11.07 1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안펀드 매입 신용등급 A1 CP로 제한…삼성·현대·DL만 합격점
지방 중소 건설사들 자금조달 창구 막혀 줄도산 우려
강원도 춘천 중도에 건설된 레고랜드.<뉴시스> 

[인사이트코리아=선다혜 기자] 레고랜드발(發) 금융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채권안정펀드(채안펀드) 조성에 나섰지만, 실효성이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채안펀드가 매입할 수 있는 채권 신용등급이 A1 기업어음(CP)으로 제한돼 소수 대형 건설사를 제외하고는 혜택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형건설사들 입장에서는 실효성이 없는 대책인 셈이다.

채안펀드 꾸렸지만 실효성 '글쎄'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 6월말 기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규모는 총 112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9년 전인 2013년(35조2000억원)에 비해 3배 넘게 급증한 것이다. 그만큼 PF 차환 리스크가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는 최근 지자체 ABCP(자산유동화 기업어음)가 지급불능 상태에 빠지면서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보험사 등 금융권이 PF의 문을 걸어잠궜다는 것이다. 그동안 PF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던 건설사들에 비상등이 켜졌다. 이를 수습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 채안펀드를 구성하고 50조원 이상을 투입해 시장을 안정화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 채안펀드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채안펀드 매입기준인 신용등급 A1 이상인 건설사가 삼성물산·현대건설·DL이앤씨 뿐이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라고 해도 신용등급이 A1에 못미칠 경우 채안펀드는 그림의 떡이다.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이 추진중인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뉴시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케이스가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이다.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은 둔촌주공 재건축 공사가 재개된 기존 사업비 7000억원에 추가로 1250억원을 더해 8250억원 규모의 ABCP발행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시공사업단이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야하는 초유의 사태에 놓이게 됐다.

다행히 투자자로 참여했던 KB증권이 둔촌주공 PF의 차환발행 주관사를 맡으면서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지만 뇌관이 언제 터질지 알 수 없다.  KB증권은 총 5423억원의  ABTSTB(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 ABCP를 발행했다. 시공사업단 중에서는 현대산업개발을 제외하고 현대건설(2005억원), 롯데건설(1710억원), 대우건설(1708억원)이 대출채권에 대한 연대보증을 섰다. 

둔촌주공 ABCP 매입에 채안펀드도 들어갔지만, 900억원에 불과했다. 쟁쟁한 건설사들이 시공사업단에 참여했지만 신용등급이 A1 이상인 건설사는 현대건설 한 곳 뿐이었기 때문이다. 채안펀드가 지난달 31일부터 운영됐으나 기준이 까다롭다보니 현재까지 매입한 채권 규모는 3000억원에 불과하다.  

기댈 곳 없는 지방 중소 건설사들

채안펀드도 중·소형 건설사들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정부의 립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형 건설사들은 굳이 채안펀드가 아니더라도 유상증자나 계열사 차입을 통해 자금을 유통할 수 있다. 반면 중·소형 건설사들은 금융사가 PF 문을 좁히면서 자금을 끌어올 여지가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실제로 충남지역 6위 종합건설사인 우석건설은 지난 9월 말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가 났다. 우석건설은 대책 마련에 나섰으나 뚜렷한 상환 방법을 찾지 못하면서 사실상 최종 부도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건설사들 사이에서는 부도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이들 건설사들은 중·소형 건설사들이 언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한다.  

업계 관계자는 "채안펀드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 건설사들에는 무의미하다는 게 드러났다"며 "지방 중·소 건설사들이 무너지면 하도급업체까지 줄도산 하기 때문에 정부는 미분양 주택 매입 등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