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보통
  • 경기
    B
    미세먼지 보통
  • 인천
    B
    미세먼지 보통
  • 광주
    B
    미세먼지 좋음
  • 대전
    B
    미세먼지 보통
  • 대구
    B
    미세먼지 보통
  • 울산
    H
    16℃
    미세먼지 보통
  • 부산
    B
    미세먼지 보통
  • 강원
    B
    미세먼지 보통
  • 충북
    B
    미세먼지 보통
  • 충남
    B
    미세먼지 보통
  • 전북
    R
    15℃
    미세먼지 보통
  • 전남
    B
    미세먼지 좋음
  • 경북
    B
    미세먼지 보통
  • 경남
    B
    미세먼지 보통
  • 제주
    B
    미세먼지 보통
  • 세종
    B
    미세먼지 보통
최종편집2024-04-19 19:07 (금) 기사제보 구독신청
중국은 지금 ‘한국 길들이기’ 중
중국은 지금 ‘한국 길들이기’ 중
  • 조혜승 기자
  • 승인 2017.04.04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문학 매일경제 본부장이 말하는 중국 이해 2가지 키워드

지난해 10월 27일 폐막한 중국 18기 중앙위원회 제6회 전체회의(6중 전회)에서 시진핑 국가 주석을 당의 핵심으로 격상시켰으며 이는 바로 전 국가 주석인 후진타오에게는 부여되지 않았던 공식 호칭이다. 거기에 6중 전회에서 제정된 규칙에 따라 공산당은 고위 간부의 부패를 직접 조사하고 곧바로 자리까지 박탈할 수 있게 됐다.

시진핑 주석은 당내에 공산당 중심의 정치를 역설하면서 1인 독재 체제에 대한 가능성은 희박하다지만 7상 8하(67세 이하는 가능, 68세 이상은 퇴임)와 같은 관행은 법으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 주석이 장기집권을 강화한다면 2022년 20차 당 대회에서 3연임을 도모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3월 22일자 홍콩유력지 밍(明)보의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통상 재임기간 10년인 국가주석의 집권기간을 연장, 공산당 최고 규범인 당장과 헌법에 자신의 사상을 포함시키는 등 사실상 장기집권 강화 작업에 나섰다. 시 주석은 국가주석에서 물러난 뒤 연임 제한이 없는 총서기 신분으로 권력을 유지하다 올해 19차 당 대회에서 왕치산 중앙기율위원회 서기를 유임시켜 7상 8하 예외를 만들어 운을 띄워 상황을 지켜보다가 2022년 국가주석을 유임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국가주석 연임 제한 철폐 등 헌법 수정까지 감행해 시 주석은 장기 집권의 포석을 마련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대외정책도 한국이나 일본에 강경 기조를 보이며 국수주의를 자극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 사드와 관련해서도 강도 높은 경제 보복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중국 경제보복을 말하기 전에, 첫 번째 키워드는 시진핑의 한 마디면 중국 내 시도 661개 시장·군수(2900명)·읍·면·동장(4만 명)·이장·촌장(64만 명) 등이 일사분란하게 아래로 전달된다. 중국이란 나라는 고도로 집중된 중앙집권경제 시스템이면서 사회주의 체제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로 획일적이면서 융통성이 적은 틀에 따라 움직인다고 그는 설명했다. 시진핑은 ‘아픈 데만 누르자’는 의도를 가지고 사드 보복 작전을 펼치고 있다고 현 본부장은 분석했다.

두 번째 키워드는 공산당에 잠식당한 중국의 언론이다. 중국 언론은 사회주의에 기초한 지도사상과 당의 노선을 준수하고, 당과 인민의 관계를 결합시키며, 그들의 이익에 부합되는 사실을 보도하는 하나의 선전·선동(宣傳煽動) 조직이자, 여론기관으로서의 성격과 임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력 일간지들은 당 기관지이고 그 외의 매체들도 당의 직접적인 지도체계 속에 포함되기 때문에 중국 언론은 시진핑 1인 체제를 뒷받침하는 관영 매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중국 언론은 공산당 핵심기관 중 하나로 공산당이 영도하고 있으며 언론 기관의 편집장과 기자는 장·차관급 고위 공무원이다. 이들은 13억 8000만 명 중 반에서 5등 안에 들어가는 사람으로 2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언론기관 기자, 편집장이 되는 구조다. 

현 본부장은 “중국은 한반도를 속국으로 보고 화장품·관광·여행·자동차 등 한국 경제보복을 위한 6개 리스트를 만들어놓았다”며 “노름판이 시작할 때 들어가야 하고 판이 짜질 때 정신 차려서 좋은 기회를 우리가 잡아야한다”고 말했다.

중국인 속마음 보니 역사는 반복 되더라

2012년 일본의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선언으로 중국에서 대규모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이 전개됐다. 중국 정부가 나섰고 주요 타깃은 일본산 자동차로 시작해 전반적인 일본 제품으로 번졌다. 도요타는 2012년 기준 전년 대비 판매량이 4.9% 하락한 84만대에 그쳤고 닛산은 같은 기간 대비 판매량이 5.3% 감소해 118만1500대를 기록했다. 일본차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19.4%에서 16.4%로 줄었다.  

지난해 9월에는 중국 정부가 한국에 대해 제재 카드를 뽑아들었다.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성 시위다. 사드가 북한을 겨냥한 무기지만 중국 안전에 중대한 위협을 가한다는 게 이유다. 

첫 조치는 한한령(限韓令)이다. 한국의 모든 오락 프로그램 송출을 중단하고 특히 중국에서 인기 있는 한국 드라마 상영을 모두 금지시켰다. 예술인 교류 등 협력사업 자체를 금지시키는 한편 한류문화의 유입을 원천 봉쇄하는 조치를 취한 것. 
한류의 중국 공연 일정이 모두 취소되자 중국 문화계는 대환영이다. 영화계는 매출이 67%나 늘었다고 환호성이다. 중국 영화제작 업체 츠원미디어((慈文影?)라는 곳은 매출이 작년보다 114%나 늘었다고 자랑이다. 

지난 2월 27일에는 롯데가 시드부지 제공에 동의하자 정부차원에서 두 번째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롯데에 대해 집중 포화를 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유전자는 일본 놈인데 한국 옷 입은 기업’이라는 평판도 작용한다. 사실 롯데는 중국인들에게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중국에서 약 100여개의 마트를 운영 중이지만 2011년에서 2014년까지 중국 매장에서만 61억 위안(약 1조원)의 손실을 기록 중이다. 

특히 온라인 영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중국서 오프라인은 영업에 어려움이 많다. 2013년 중국 화룬완자(??万家)는 220억 홍콩달러를 들여 영국 테스코의 중국 업무를 사들였다가 2년 만에 10억 위안의 손실을 보고 CEO가 물러난 상태다. 적자기업인 초롄화(初?花)도 장기간 매물로 나왔지만 매각 대상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중국 당국은 이와 함께 한국에 가는 관광객에 대해서도 통제를 가하고 있다. 롯데 면세점과 호텔은 물론 롯데월드나 백화점에도 가지 말도록 하는 바람에 손님이 3분의 1이나 급감했다. 한국 관광에 이어 화장품을 수입제한하고 있으며 앞으로 스마트폰, 자동차 등 한국의 대표 상품에 대한 불매 카드도 만지작거리는 중이다. 한마디로 아픈 곳을 집중 공격해 굴복을 이끌어낸다는 중국식 전략이 숨겨져 있는 셈이다. 

삼성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작년 중국시장에서 점유율이 반으로 뚝 떨어진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2016년 유럽서 애플에 잠식당하고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OPPO, VIVO 등에 밀리는 상황에서 조금만 압력을 넣으면 몇 년 전 LG폰처럼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것이란 계산을 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AMOLED기술을 90%나 독점하고 있고 DRAM은 47%를 장악한 삼성의 기술을 쉽사리 대체하기 힘든 상황이라 섣불리 불매대상에 포함시키기는 어려워 보인다.

현재 중국 AMOLED기술은 신둥팡(京?方), 선톈마(深天?) 등이 5.5세대기술을 확보하고 생산에 들어간다는 소식은 있지만 양산은 불가능하다. 삼성 6세대 기술을 따라가려면 2018년 이후에나 가능하다. 

글로벌 매출 중 20%를 중국에서 내고 있는 현대자동차도 안심할 수 없다. 특히 중국 시장 점유율이 2014년에는 9%까지 올라갔지만 최근 7%대로 떨어져 현대차 측은 걱정이 많다. 그러나 최근 인도·러시아·브라질 등으로 시장을 다변화 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 물론 화장품·식품·의류·식당 등도 보복 대상이지만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해 중국의 압박은 한두 달 내에 끝날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수 년 간 경제보복이 지속될 수도 있다. 

중국은 현재 ‘한국 길들이기’ 중이다. 이 책략에 말려 들 것이냐, 위기를 기회로 만들 것인가는 대한민국 기업들의 판단에 달려 있다. 아무쪼록 앞의 선례를 참고하여 지혜롭게 탈출구를 찾아 대한민국과 국민을 함부로 건드릴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