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B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B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B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최종편집2024-04-19 17:06 (금) 기사제보 구독신청
지국총 닻을 올려라 빛의 魂이여!
지국총 닻을 올려라 빛의 魂이여!
  • 권동철 전문위원
  • 승인 2016.01.13 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nsight Fine Art] 서양화가 우창훈
기운, 53×72.7㎝ oil on canvas, 2015

떠오르는 상념의 물결위에 청춘의 풋풋했던 연모의 꽃잎들이 피어나누나. 조용히 눈을 감고 사색에 잠긴 듯 한 여인. 미몽이런가. 몽실몽실 안개처럼 불타고 후끈 달아오르는 가슴에 돋아나는 빨간 입술 가는 떨림이 고해로 녹아드는데….

다차원미술 그 에너지 덩어리

마치 의식을 가진 입자처럼 천체를 운행하는 것들의 목격이나 비실재적(非實在的) 대상에 이르기까지 작품의 근본에 흐르는 것은 에너지다. 화면은 인간존재를 내포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 개별적 존재들의 가치를 느끼고 깨닫는 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인식하고 다중(多重)적으로 묘사한다. 그는 “호흡명상을 함으로써 작품의 스케치 과정에서 순간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그 에너지는 계속 연결되어 완성될 때까지 지속, 종결된다”고 말했다. 자의식이 지향하는 이를테면 무한 차원을 열어가는 순전한 초월의 출발지로서 명상(meditation)을 중시한다는 의미이다. 

사랑, 72.7×60.6㎝, 2014

화백은 이러한 자신의 작업세계를 ‘다차원미술’이라는 용어로 명명했다. 에너지덩어리들의 살아 움직이는 것이 보이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을 것임은 자명한데 이러한 지속적 시도는 열망이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우파니샤드’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이원성(二元性)이 있는 곳은 말하자면 하나가 다른 것을 보고, 하나가 다른 것을 냄새 맡고, 하나가 다른 것을 맛보는 곳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바로 자기 자신이 되는 곳에서는 무엇에 의하여 무엇을 본단 말인가? 무엇에 의하여 무엇을 냄새 맡는다는 것인가? 무엇에 의하여 무엇을 맛본단 말인가”<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프리초프 카프라(FRITJOF CAPRA) 著, 범양사> 

화합-차원의 향연, 130.3×130.3㎝, 2013

참됨, 마음을 두드리는 조언

단군신화의 환웅이 하늘에서 처음 그 나무 아래로 내려왔다는 신단수(神壇樹). 쌍영총, 무용총 등 고구려시대 벽화고분에 나타나는 태양을 상징하는 세 발 달린 삼족오(三足烏). 최근 작업에 등장하는 이들은 작가가 지향하는 하나의 거대한 정체성, ‘나’와 우리민족의 아이덴티티까지 몰두하는 경지에 다다르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것은 화엄(華嚴)과 천부사상까지 하나의 빛의 근원, 인간의 해탈을 향해 달려가는 관계를 탐구하는 지난한 노력과 다름 아닌데 그는 “생활에서 그것을 만들어 내려 정진한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작품 ‘화엄공간’에선 모든 사람을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로 이끄는, 하여 저마다 생동의 만휘군상 저 만다라(ma?dala)의 철학이 느껴져 오기도 한다. 

생명의 샘, 130.3×162㎝, 2015

작가는 “결국은 원시반본(原始返本)에서 ‘나’와 우리의 근본을 되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궁극적으로 빛의 혼(魂), 살아 있고 의식하는 입자가 인간이니까….”라고 말했다. 이러한 하나로 모아지는 결합들, 빛과 명상적 자아와 한민족의 정체성 등엔 존재에 대한 물음이 펼쳐져 있다. 근본으로 돌아가려는 의식세계를 지향함으로써 이들을 아우르는 빛으로 향하는 회화작업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마음의 공(空)은 마음의 자유와 무애를 말하고, 마음이 자신을 양명하게 드러내는 마음의 본질을 나타냄과 다르지 않으리라. 그런 자유와 무애는 한 민족의 문화와 역사의 본질을 직시하는 것이기도 하다.”<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김형효 지음, 청계>

---------------------------------------------------------------------------------------------------

◇서양화가 우창훈
작가는 1987년 L.A모던아트갤러리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1998년 갤러리 상 전시에서 ‘다차원예술의 태동’을 알렸다. 80년대는 기본입자의 표현에만 충실했는데 90년대 카오스(chaos), 2000년대 반복과 질서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프랙탈(fractal), 미시세계 등과 최근 ‘빛’시리즈로 작업의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다. 대개 10년 주기로 극미 및 극대세계를 화폭 속에서 결합시킴으로써 ‘다차원미술’의 회화작업을 이어오고 있는데 양자역학뿐만 아니라 판톰(phantom), 코크효과(Kok effect) 등에 이르기까지 그의 자연과학에 대한 연구는 40여 년간 지속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다차원미술은 오랜 세월 화백이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그것을 회화적 언어로 펼쳐온 순수한국의 토박이 화가가 일궈낸 한국적 화풍이라는 점에서 향후 재평가 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창훈(WOO CHANG HOON) 화백은 중앙대학교 회화학과를 졸업했다. 가가 갤러리, 가나인사아트센터, 갤러리 상, 동원화랑(대구) 등에서 개인전을 15회 가졌고 아트 마이애미, 퀼른 등 주요아트페어에 다수 참여했다. 대학재학 중이던 1978년도 중앙미술대전에서 특선과 1985년 제14회 구상전 공모전 대상 그리고 2004년 대한민국 평론가협회 선정 최우수 예술인상을 수상했다.

---------------------------------------------------------------------------------------------------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