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B
    미세먼지 보통
  • 경기
    B
    17℃
    미세먼지 보통
  • 인천
    B
    15℃
    미세먼지 보통
  • 광주
    B
    미세먼지 좋음
  • 대전
    B
    21℃
    미세먼지 좋음
  • 대구
    B
    23℃
    미세먼지 보통
  • 울산
    B
    미세먼지 보통
  • 부산
    B
    18℃
    미세먼지 좋음
  • 강원
    B
    20℃
    미세먼지 보통
  • 충북
    B
    미세먼지 좋음
  • 충남
    B
    18℃
    미세먼지 좋음
  • 전북
    B
    20℃
    미세먼지 좋음
  • 전남
    B
    미세먼지 좋음
  • 경북
    B
    미세먼지 보통
  • 경남
    B
    미세먼지 좋음
  • 제주
    B
    16℃
    미세먼지 좋음
  • 세종
    B
    미세먼지 좋음
최종편집2024-04-25 19:18 (목) 기사제보 구독신청
‘우주강국 G7’ 한국의 현실
‘우주강국 G7’ 한국의 현실
  • 인사이트코리아
  • 승인 2023.06.01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5월 25일 우주를 향해 날아올랐다. 모형이 아닌 상용 실용위성을 싣고 가서 목표한 궤도에 올려놓았다. 이로써 한국은 자국 발사체에 자국 위성을 실어 나른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그동안 독자 개발한 발사체에 자체 제작한 위성을 실어 우주 궤도에 올린 국가는 미국·프랑스·일본·러시아·중국·인도 등 6개국뿐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우주강국 G7(주요 7개국)에 들어갔음을 선언하는 쾌거”라고 평가했다.

국산 발사체 누리호의 3차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글로벌 우주산업 경쟁에 나설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정부가 우주 탐사를 주도하는 ‘올드 스페이스(Old Space)’ 시대에서 민간 기업이 이끄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로의 첫발도 내디뎠다.

이번 발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이끌었지만 향후 누리호 상용화를 추진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발사 전 과정에 참여했다. 누리호에 실린 8기의 위성도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민간 기업들이 만들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내 기업이 300여 곳이다. 한국형 발사체의 성공은 이들 연구자들의 열정과 땀의 결실이다.

2021년 400조원을 넘어선 글로벌 우주경제 규모는 2030년 850조원으로 두 배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우주산업은 부가가치율이 50%에 육박할 정도로 높다. 미국·중국이 앞선 우주개발 경쟁에 일본, 유럽연합(EU)이 뛰어든 이유다.

달 탐사와 화성도시 건설을 목표로 더 크고 강력한 우주발사체 개발 경쟁이 뜨겁다. 미국이 한미동맹 70주년으로 묶인 혈맹이지만, 정작 한국의 우주로켓 개발에 도움을 준 곳은 러시아다. 누리호는 러시아의 기술협력을 받아야 했던 2013년 나로호 발사 성공 이후 10년 만에 거둔 성과다.

21세기 우주 개발과 패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 속에서 한국은 지난해 탐사선 다누리호를 달 궤도에 안착시켰다. 이번에 위성발사체 능력도 보여주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선두 국가와의 기술격차가 크고,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

특히 우주발사체 개발 기간과 발사 비용이 선두 국가와 차이난다. 지금까지 발사 비용을 단순 계산하면 누리호 1회당 발사 비용은 5289억원. 발사체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우주 개발 기업 스페이스X의 재사용 로켓 ‘팰컨9’의 회당 발사 비용 1000만 달러(약 132억원)의 40배에 이른다.

뉴 스페이스 시대에 경쟁하려면 규모의 경제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는 필수다. 정부가 2030년까지 창출하겠다는 통신, 기상관측 등을 위한 100기의 초소형 위성 수요를 ‘정부 위성’ 중심에서 ‘상업용 위성’ 양산 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더 많은 민간 자본이 들어와 우주산업 생태계가 구축되고, 기술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도 가능해진다.

이런 일을 맡아할 우주 전담기구가 없는 나라는 G20(주요 20개국) 중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형 NASA(미 항공우주국)’로 불리는 우주항공청 설립은 여야의 정쟁으로 표류하고 있다. 우주는 군사안보는 물론 각종 자원 채굴, 관광에 이르기까지 미래 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떠올랐다. 저 큰 ‘우주 문제’를 풀어가는 일만큼은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자.

양재찬 경제칼럼니스트.<인사이트코리아>
양재찬 경제칼럼니스트.<인사이트코리아>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