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MMORPG 벗어난 다양한 장르의 게임 출시 예고
북미 현지 법인 자회사 설립하는 등 북미 시장 진출에 열의 보여

[인사이트코리아=신광렬 기자] 엔씨소프트(이하 엔씨)가 29일 열린 제 26기 주주총회에서 변화를 약속하고 사업 다각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개혁 선언’을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매진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고 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지난해 엔씨는 해외 매출 비중이 30% 가량을 차지하며 글로벌시장 공략의 중요한 분기점을 맞았다”며 “올해는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장르를 다변화함으로서 한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 대표는 중국 호요버스(구 미호요)의 ‘원신’을 언급하며 “캐릭터에 장기적인 애정을 쏟을 수 있는 게임을 만들어 달라”는 한 주주의 요청에 대해 “원신은 자신으로 하여금 생각할 계기를 만들어 준 좋은 게임”이라며 “글로벌 시장에 맞춰 수익모델(BM)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당장 매출과 연결되지 않더라도 엔씨의 브랜드를 쌓기 위해 과감히 투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엔씨는 최근 ‘리니지라이크’라는 오명으로 바닥까지 떨어진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다양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으며 대중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를 사외이사로 영입했고, 오픈형 개발문화 엔씽(NCing)을 도입해 유저들과 소통하고 변화를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최근 개발중인 신작들 또한 엔씨의 ‘밥줄’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장르에서 벗어난 작품들이 다수다. 엔씨는 엔씽을 통해 퍼즐게임 ‘퍼즈업: 아미토이’와 난투형 대전액션게임 ‘배틀크러쉬’, 내년 출시 예정인 MMO 슈팅게임 ‘LLL’, 실시간 전략 게임(RTS) ‘프로젝트 G’등을 잇따라 선보였다. 기존에 엔씨가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장르를 성공시킴으로서 리니지의 자가복제 게임밖에 만들지 못한다는 기존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겠다는 복안이다.
엔씨는 게임 장르뿐 아니라 플랫폼 다각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엔씨의 최대 기대작 ‘쓰론 앤 리버티(TL)’는 모바일 플레이를 배제하고 PC와 콘솔 플레이를 염두에 두고 제작됐다. 배틀크러쉬는 모바일 서비스가 중심이지만, 동시에 닌텐도 스위치 플랫폼으로도 출시가 예정돼 있다.

북미 시장에서 고배 마셨던 엔씨, ‘탈 리니지’로 재진출 꿈꾼다
엔씨의 이 같은 시도는 글로벌시장 진출에 초점을 맞춘 전략으로 풀이된다. 엔씨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을 반복해서 강조했다. 리니지와 같은 MMORPG 장르가 국가별로 호불호가 갈리며, 특히 기존 엔씨 게임의 공통적인 특징이었던 확률형 아이템과 P2W(Pay to Win) 위주의 BM이 해외 유저들에게 거부감이 심하다는 것을 의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플랫폼 다각화 전략 또한 모바일 게임 위주인 한국 시장과 달리 PC, 콘솔 게임 시장이 강세인 해외 시장에 발맞춘 전략이다.
특히 엔씨가 눈독을 들이는 곳은 북미와 유럽 시장이다. 엔씨는 기존에 북미와 유럽 사업을 총괄하던 웨스트홀딩스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현지 별도 법인으로 엔씨의 자회사인 엔씨 아메리카를 설립했다. 이는 북미와 유럽 시장을 본사가 직접 관리함으로서 게임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함으로, 엔씨가 해당 지역으로의 진출에 높은 비중을 두고 역량을 쏟고 있다는 증거다.
엔씨는 2011년 리니지의 북미 시장 진출이 실패하며 한 차례 고배를 마신 만큼, ‘탈 리니지’로 다시금 시장 진출을 노린다는 복안이다. 엔씨 관계자는 “북미, 유럽 시장은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게임 시장이기에 대다수의 게임사들이 진출을 고려할 만큼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엔씨는 해당 시장에서의 유저들 특성을 면밀히 파악해 유저들의 수요에 맞는 게임성과 BM으로 작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